박미나는 색상과 숫자, 문자, 도형 등 문화적인 부호와 기호들을 언어 삼아 사회와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은 체제와 관습, 그리고 규범에 대해 질문해 오고 있다. 작가가 오랜 시간 방대하게 수집해 온 색칠 공부, 광고와 만화의 이미지, 설명서 및 매뉴얼 등에서 발견한 규칙과 의미를 해체하고 다른 것들과 재결합해 보면서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계와 가장자리, 차이와 이동, 그리고 변화를 회화의 형태로 가시화한다. 작가에게 회화란 시각 언어를 통한 소통의 매개체이다. 작가에 따르면 언어를 구성하는 기표와 기의는 고정된 관계가 있지 않으며, 유연한 사슬로 연결되어 있다. 회화라는 펼쳐진 화면에 작가는 이를 가져와 유연한 관계를 모색한다. 회화를 바탕으로 한 해체와 재조립의 과정은 정보의 불규칙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그것의 패턴을 비틀며 새로운 이야기를 제기한다. 이 이야기는 학습되었거나 주어진 관계를 뒤집으며 다른 방식으로 사고할 수 있는 시각을 선사한다.

MeeNa Park uses cultural codes and symbols—colors, numbers, letters, and shapes—as a visual language to question the systems, customs, and norms deeply embedded in society. Drawing from her extensive archive of coloring books, advertisements, cartoons, instruction manuals, and guides, she deconstructs the rules and meanings embedded in these materials and recombines them to visualize boundaries, edges, differences, transitions, and changes through painting. For Park, painting is a medium of communication through visual language. She sees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not as fixed counterparts but as elements linked through a flexible chain. On the expansive canvas, she brings these elements together to explore new forms of relation. This process of deconstruction and reassembly reveals the irregularities of information while twisting its patterns to generate new narratives—narratives that overturn learned or inherited associations and offer perspectives that invite different ways of thinking.